티스토리 뷰
목차
투자에 관심이 있는 여러분, 주식하면 떠오르는 것이 바로 주가가 오르는 것과 매매 차익이죠.
하지만 실제로 꾸준히 투자하는 분들은 배당금이라는 또 다른 즐거움을 누리고 있습니다.
배당금은 마치 보너스처럼 주기적으로 들어오는 현금 흐름이라서 장기 투자자에게 큰 힘이 되곤 합니다.
오늘 포스팅에서는 배당금이 처음인 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주식 배당금 받는 방법과 일정을 차근차근 풀어서 소개해 드릴게요.
커피 한 잔 하시면서 편안하게 읽어보세요!
1. 배당금이란?
배당금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일부를 주주에게 현금이나 주식 형태로 나누어 주는 것을 말합니다.
<배당금 종류>
- 현금배당 : 가장 일반적인 형태, 현금이 계좌로 입금됩니다.
- 주식배당 : 현금 대신 추가 주식으로 지급됩니다.
- 분기/반기/연간 배당 : 회사마다 지급 주기가 다릅니다.
참고 : 배당금이 많다고 반드시 좋은 회사라는 뜻은 아닙니다.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배당 정책을 함께 살펴봐야 합니다.



2. 배당금을 받기 위해 꼭 알아야 할 3가지 날짜
배당금을 받으려면 세 가지 중요한 날짜를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.
① 배당기준일 (Record Date)
- 누가 배당금을 받을지 결정하는 날입니다.
- 한국 기업은 대부분 12월 31일을 연말 배당의 기준일로 정합니다.
② 배당락일 (Ex-Dividend Date)
- 이 날부터는 배당을 받을 권리가 사라집니다.
- 배당기준일 2 영업일 전이 배당락일입니다.
예 : 12월 31일이 배당 기준일이면, 12월 29일이 배당락일입니다.
따라서 12월 28일까지 매수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③ 배당지급일 (Payment Date)
- 주주총회 승인 후 약 1개월 내 증권계좌로 입금됩니다.
<배당 일정 요약표>
단계 | 의미 | 투자자가 할 일 |
배당공시일 | 배당금, 기준일, 지급일 공지 | 기업 공시 확인 |
배당락일 | 배당권리 소멸일 | 이 날 전까지 주식 보유 |
배당기준일 | 배당 받을 주주 확정 | 해당일 2영업일 전 매수 |
배당지급일 | 배당금 실제 입금 | 기다리면 계좌에 자동 입금 |
자세한 기업별 일정은 DART 전자공시 또는 세이브로(SEIBRO)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3. 2025년 배당 일정 예시
예시 : 삼성전자 2025년 연말 배당
- 배당기준일 : 2025년 12월 31일
- 배당락일 : 2025년 12월 29일
- 지급일 : 2026년 3월 초 (주총 승인 후)
따라서 12월 28일까지 삼성전자 주식을 보유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.
<2025년 주요 기업 예상 배당 일정>
기업명 | 배당기준일 | 배당락일 | 예상 지급일 |
삼성전자 | 12월 31일 | 12월 29일 | 2026년 3월 |
SK하이닉스 | 12월 31일 | 12월 29일 | 2026년 3월 |
현대차 | 12월 31일 | 12월 29일 | 2026년 3월 |
KB금융 | 12월 31일 | 12월 29일 | 2026년 3월 |
(위 표는 2024년 기준 예상치이며, 실제 일정은 공시를 확인해야 합니다.)



4. 배당금 확인 방법
배당금을 받으려면 얼마나 지급되는지 사전에 확인해야겠죠?
<확인 방법>
- 전자공시(DART) – 기업의 배당 공시 확인
- 세이브로(SEIBRO) – 배당 일정, 배당금 정보
- 네이버 금융 / Investing.com – 배당락일, 기준일 캘린더
관련 링크 : 네이버 금융 – 배당 캘린더
5. 배당금 세금 (배당소득세)
한국에서는 배당금을 받으면 15.4%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.
- 배당소득세 14% + 주민세 1.4% = 총 15.4%
- 연 배당소득이 2,000만 원 이하: 분리과세 가능
- 2,000만 원 초과: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과세
<세금 계산 예시>
배당금 100만 원을 받을 경우 :
- 세금 154,000원 공제 → 846,000원 실제 수령



6. 배당 투자 팁과 주의사항
1) 배당락일 전에 매수
- 배당락일 전날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배당금 지급 대상입니다.
2) 배당락일 이후 단기 주가 하락에 주의
- 배당금만 보고 접근하면 배당락 이후 주가 하락으로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.
3) 배당 성향이 높은 종목 관심
- 금융, 통신, 에너지 기업은 배당 성향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.
4) 배당 투자 도구 활용
- 증권사 HTS, MTS에서 배당 캘린더 활용
- 인베스팅닷컴 배당 캘린더 참고
배당금은 꾸준히 주식을 보유한 투자자에게 주어지는 보너스 같은 혜택입니다.
- 배당락일 전날까지 보유
- 배당 일정 확인 후 투자
- 세금 15.4% 고려
위 세 가지만 기억해도 배당금을 놓치는 일은 없을 거예요!
혹시 여러분은 배당금을 받기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하시나요? 댓글로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! 😊